트리 (1) 썸네일형 리스트형 [백준] 1068번 트리 문제를 풀 때 예제에 자식이 2개가 최대인 예제 밖에 없어서 이진 트리인 줄 알고 문제를 풀었다가 질문게시판에 있는 반례에서 3개가 나오는 예시를 보고 다시 풀었다. node라는 구조체를 선언하고 node 내에 parent라는 부모 노드를 가리키는 node형 변수와 node형 벡터를 만들어 자식 노드들을 가리키게 했다. 처음으로 구조체 내에 벡터를 선언했는데 이번에 하면서 알게 된 사실이 있다. 구조체 내에 벡터를 사용할 때는 new를 사용하여 동적 할당을 해줘야한다. 그렇지 않으면 나중에 벡터에 push_back을 할 수 없다. 루트 노드가 무조건 첫 번째로 나온다는 보장이 없다. 따라서 입력한 숫자가 -1인 경우 루트 노드이므로 해당 노드의 num을 i로 설정하고 parent는 NULL로 설정한다. .. 이전 1 다음